달팽이집에 입주하기 위해 가장 먼저 만나는 사람이 누구일까요?
입퇴실 담당자? 땡! ❌
집보기 위원회? 땡! ❌
이웃집 조합원? 땡! ❌
바로 입주필수교육인 '예비조합원교육'과 '평등문화교육'을 진행하는 '이음이'와 '이끔이' 입니다!
이음이는 민쿱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소개하는 '예비조합원교육'을 진행하고
이끔이는 우리가 달팽이집에서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살고 있는지 소개하는 '평등문화교육'을 진행하는
일명, 내가 먼저 경험한 민쿱과 달팽이집을 예비 조합원에게 소개하는 임무를 가진 조합원들이에요!
내가 먼저 경험한 것을 새로운 이에게 소개하는 역할이라니 너무 멋지지 않나요? 👏
이음이, 이끔이 활동 만큼 내가 속한 단체를 속속히 알게되고, 깊이 이해할 수있는 조합 활동은 없는 것 같아요!
달팽이집은 지인 추천으로 입주하는 경우가 60%이상인데,
사실 지인에게 달팽이집을 추천하면서 정작 "거긴 어떤 곳이야?" 라고 하면 말문이 막히기도 하잖아요.
음,, 저렴하고,, 청년 주거권 얘기를 하면서 입주할 때 이것저것 많이 알려주기는 하는데,, 평등문화 약속문이라는 것도 있던데,,,
(과거의 나야 나!!)
이음이, 이끔이 활동을 하면 이 모든 것에 답변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예비 조합원분들에게 민쿱과 달팽이집의 모든 것을 더욱 잘 전달하기 위해 계속 교육안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24년 중간 활동 공유는 여기에서!
예비조합원교육 '이음이'
○ 교육진행 (24.09.23 /10.26 /11.25 /12.21 /25.01.11)
매월 1회,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번갈아가며 예비 조합원분들에게
왜 청년주거권을 외치는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이 만들어졌는지? 협동조합은 무엇인지? 달팽이집 살이는 어떤건지?를 전달하고,
나의 주거역사를 살펴보고 모의 반상회를 진행하며 '집'에 대한 이야기를 진하게 나눕니다.
교육 후, 피드백 회의를 통해서 좋았던 점/아쉬웠던 점을 나누면서 다음 교육을 준비하기도 하지요!
교육 피드백을 통해서 25년에는 '교육장 세팅 매뉴얼'을 만들고 이음이 개별의 강의 스타일을 구축해보기로 했습니다!
평등문화교육 '이끔이'
○ 교육진행 (24.11.09 /25.02.08)
분기별 1회, 달팽이집 입주자를 대상으로 평등문화교육을 진행합니다.
달팽이집은 단순히 임대료가 저렴한 집을 넘어 '주거공동체'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주거공동체는 모두 친하게, 허물없이 지내는 것이 아니라 주거문화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인데요,
신뢰하는 주거공동체, 안전하고 평등한 공동체를 위해 '평등의 최저선'을 나누고, 함께 만들어가는 논의를 합니다.
25년에는 워크시트, 몸활동, 그룹대화 등 여러 교육 도구를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평등문화교육을 만들어가려고 합니다!
 |  |  |
24.11.09
| 25.02.08 | 24.12.17(이끔이 회고회의) |
 |  |  |
📍협동조합 7원칙 중 제5원칙에 <교육, 훈련 및 정보 제공>이 있는데요.
(예비) 조합원에게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이 어떤 곳이고, 어떻게 운영되는지 교육하고,
달팽이집에서 평등하고 공동체적인 주거문화를 만들어가며 거주하는 훈련을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교육위원회(a.k.a 이음이/이끔이) 분들이 있기에
24년 한해에도 총 144명에게 16회의 교육을 조합원에게 할 수 있었습니다!😁
교육위원회 이음이, 이끔이 활동은 계속 될 예정이니까요!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같이 교육 활동 하고 싶은 조합원 있으면 사무국으로 연락주세요!
달팽이집에 입주하기 위해 가장 먼저 만나는 사람이 누구일까요?
입퇴실 담당자? 땡! ❌
집보기 위원회? 땡! ❌
이웃집 조합원? 땡! ❌
바로 입주필수교육인 '예비조합원교육'과 '평등문화교육'을 진행하는 '이음이'와 '이끔이' 입니다!
이음이는 민쿱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소개하는 '예비조합원교육'을 진행하고
이끔이는 우리가 달팽이집에서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살고 있는지 소개하는 '평등문화교육'을 진행하는
일명, 내가 먼저 경험한 민쿱과 달팽이집을 예비 조합원에게 소개하는 임무를 가진 조합원들이에요!
내가 먼저 경험한 것을 새로운 이에게 소개하는 역할이라니 너무 멋지지 않나요? 👏
이음이, 이끔이 활동 만큼 내가 속한 단체를 속속히 알게되고, 깊이 이해할 수있는 조합 활동은 없는 것 같아요!
달팽이집은 지인 추천으로 입주하는 경우가 60%이상인데,
사실 지인에게 달팽이집을 추천하면서 정작 "거긴 어떤 곳이야?" 라고 하면 말문이 막히기도 하잖아요.
음,, 저렴하고,, 청년 주거권 얘기를 하면서 입주할 때 이것저것 많이 알려주기는 하는데,, 평등문화 약속문이라는 것도 있던데,,,
(과거의 나야 나!!)
이음이, 이끔이 활동을 하면 이 모든 것에 답변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예비 조합원분들에게 민쿱과 달팽이집의 모든 것을 더욱 잘 전달하기 위해 계속 교육안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24년 중간 활동 공유는 여기에서!
예비조합원교육 '이음이'
○ 교육진행 (24.09.23 /10.26 /11.25 /12.21 /25.01.11)
매월 1회,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번갈아가며 예비 조합원분들에게
왜 청년주거권을 외치는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이 만들어졌는지? 협동조합은 무엇인지? 달팽이집 살이는 어떤건지?를 전달하고,
나의 주거역사를 살펴보고 모의 반상회를 진행하며 '집'에 대한 이야기를 진하게 나눕니다.
교육 후, 피드백 회의를 통해서 좋았던 점/아쉬웠던 점을 나누면서 다음 교육을 준비하기도 하지요!
교육 피드백을 통해서 25년에는 '교육장 세팅 매뉴얼'을 만들고 이음이 개별의 강의 스타일을 구축해보기로 했습니다!
평등문화교육 '이끔이'
○ 교육진행 (24.11.09 /25.02.08)
분기별 1회, 달팽이집 입주자를 대상으로 평등문화교육을 진행합니다.
달팽이집은 단순히 임대료가 저렴한 집을 넘어 '주거공동체'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주거공동체는 모두 친하게, 허물없이 지내는 것이 아니라 주거문화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인데요,
신뢰하는 주거공동체, 안전하고 평등한 공동체를 위해 '평등의 최저선'을 나누고, 함께 만들어가는 논의를 합니다.
25년에는 워크시트, 몸활동, 그룹대화 등 여러 교육 도구를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평등문화교육을 만들어가려고 합니다!
📍협동조합 7원칙 중 제5원칙에 <교육, 훈련 및 정보 제공>이 있는데요.
(예비) 조합원에게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이 어떤 곳이고, 어떻게 운영되는지 교육하고,
달팽이집에서 평등하고 공동체적인 주거문화를 만들어가며 거주하는 훈련을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교육위원회(a.k.a 이음이/이끔이) 분들이 있기에
24년 한해에도 총 144명에게 16회의 교육을 조합원에게 할 수 있었습니다!😁
교육위원회 이음이, 이끔이 활동은 계속 될 예정이니까요!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같이 교육 활동 하고 싶은 조합원 있으면 사무국으로 연락주세요!